목록분류 전체보기 (165)
IT 일기장
1. Help > Eclipse Marketplcae... 클릭 2. Spring Tools 4 Install 클릭 3. Confirm 클릭 4. 동의 누르고 Finish. 기다렸다가 재시작 알림뜨면 재시작 해주면 된다 5. Spring Legacy Project > Spring MVC Project > Next 클릭 6. 패키지명 입력 (com.mycompany.myapp* 이 내용이 패키지명 규칙이므로 이 틀에 맞춰서 적절히 지어준다) 7. Tomcat 세팅해준다. 아래 No servers are available. Click this link to create a new server.. 클릭 8. 자기 컴퓨터에 있는 톰캣 버전에 맞게 설정해주고 Next 클릭한다 (필자는 8.5) 9. Browse...
Marketplace에서 ES7 React/Redux를 검색해보면 클래스를 자동완성 시켜주는 설치형 라이브러리가 보인다 클래스를 자동으로 만들 파일(tsx, jsx 등)에 rce 명령어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클래스를 만들어주는데.. 이클립스는 java 파일 만들때 자동으로 클래스를 생성해주는것 과는 차이를 보인다 솔직히 뭔가 다른 환경이라 많이 낯설었다...
1. Visual Studio Code > Terminal 창에서 npm -v 명령어가 잘 먹히는지 테스트 2. 찾을 수 없다면 Node.js 부터 설치 3. Node.js 설치가 끝나면 npm -v 명령어 재확인 후 잘 뜨면 npm install -g create-react-app 명령어 입력 4. 현재 프로젝트 경로에서 cd my-app -> npm start OR npm run dev 명령어 입력
프로젝트 소스 중에 iBatis를 사용하는 곳이 있었는데 (구닥다리..) 이걸 MyBatis로 컨버팅 하자니 정말 어마무시한 대공사가 될거같아서 iBatis를 쓸 수 밖에 없었던 상황인데, 눈 질끈감고 수행했는데 자동완성이 안된다... isNotNull , isNotEqual 태그도 불편해 죽겠는데 자동완성마저 안되면 너무 짜증나니까 정리해둔다 1. http://ibatis.apache.org/dtd/ 에서 아래와 sql-map-2.dtd 파일을 다운 받아준다 2. preferences > chache 검색해서 ibatis와 관련된 캐시가 있는지 확인해본다. 없으면 3단계로.. 3. XML Catalog 검색해서 User Specified Entries 클릭하고 Add… 눌러준다. 4. 다음과 같은 화면..
전자정부 프레임워크에서 제공하는 context-common.xml 파일 소스 내용이다 context-common.xml classpath:/egovframework/message/message-common classpath:/egovframework/rte/fdl/idgnr/messages/idgnr classpath:/egovframework/rte/fdl/property/messages/properties classpath:/egovframework/egovProps/globals 60 * 윗 소스 중에 아래 코드가 해당 되는 부분인데 회사 솔루션 파일 업로드의 메모리 설정 용량때문에 서버가 다운된 적이 있었다. maxInMemorySize 부분을 100MB로 줄여주니 서버 다운 현상은 해결됐다..
고객사 측에서 네트워크 이중화 작업을 하면서 홈페이지가 다운된 일이 있었다 사건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긴급] 2020년 12월 20일 오전 4시경 고객에게 웹 서버가 다운됐다는 메일 수신 오전 7시 ~ 오후 1시 1. 메일 내용 파악후 원격 작업 2. 로그 확인 후 DB 연결 문제점임을 확인 3. 이전에 백업했던 파일들 원복 작업해봤으나 해결 안됨 오후 1시 ~ 오후 4시 30분 개발팀 수석님과 이사님께 도움요청 결과는 고객사 측에서 네트워크 방화벽, 망 정리하면서 생긴 문제로 파악됨 1. 고객에게 확인요청 - 재단 네트워크 이중화 작업 원복 확인 - DB 이관했는지 확인 - 망이 달라졌다면 망을 접속하기 위한 서버환경, 접속 대역이 달라졌는지 체크 확인 오후 5시 ~ 오후 9시 고객에게 답변이 온 결..
다국어 사이트를 만드는중에 중국어랑 일본어가 DB에서 깨지는 현상이 발견됐다 야근인가… 바로 생각이 들었는데 해결책은 있었다 # 1번째 방법 일단 현재 DB의 CHARACTERSET 속성을 봐야되는데 일단 조회해본다 SELECT * FROM nls_database_parameters WHERE parameter LIKE '%CHARACTERSET%'; 내 컴퓨터의 경우 결과값은.. PARAMETER VALUE NLS_CHARACTERSET KO16MSWIN949 NLS_NCHAR_CHARACTERSET AL16UTF16 저 NLS_CHARACTERSET을 AL32UTF8로 변경해줘야된다 UPDATE sys.props$ SET value$='AL32UTF8' WHERE name='NLS_CHARACTERS..
처음 딱 봤을때 무슨 차이점인지 몰라서 유심히 봤다가 정리한다 # 차이점 RequestURI : 도메인과 포트번호를 제외한 주소값 ex) www.test.or.kr:8080/_mngr_/main/index.do 중 /_mngr_/main/index.do 만 갖고옴 RequestURL : 도메인과 포트번호를 포함한 주소값 ex) www.test.or.kr:8080/_mngr_/main/index.do 모두를 갖고옴 String requestURI = request.getRequestURI(); String requestURL = request.getRequestU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