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165)
IT 일기장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Zpa2t/btrnhBYX4Qz/TRz5j3alvRnAlJBwiHWAT1/img.png)
여주시 프로젝트 중에 고객이 CentOS 버전이 필요하다 해서 이용했던 방법이다 putty에서 cat /etc/*release* 명령어 치면 확인할 수 있다
사이트별로 메뉴를 분기시키기 위해 이리저리 찾아보다 쿼리가 반복을 돌고 있었는데 여기서 잠깐 막혔었다. "java, mybatis에서 반복문을 쓰지도 않았는데 어떻게 쿼리가 반복해서 돌지?" 찾다가 발견한 코드가 있었는데 음.. 딱 봤을때 이게 뭔가 싶었다. assciation tag에 select 속성을 찾아가봤더니 SELECT 쿼리문을 적은 곳을 찾게 되더라! 그래서 이걸보고 아.. column에다가 추가해서 사용할 수 있구나 생각하고 추가해서 사용했다. /***** mngrManagerMenuListRecursive *****/ select a.c_code, a.c_name, a.etc1, a.etc2, a.c_depth, a.c_pcode, a.c_order, #{minDepth} minDepth..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wSwzE/btrm83Bnre0/D40pFWh0byZdD9uPb9Drjk/img.png)
개발하면서 로그 남기는건 가장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내가 뭘 개발하고 작동이 어떻게 되는지 볼 수 있으니까.. 그 중에서도 운영서버에 작동하고 있는 로그를 실시간을 볼 수 있는 명령어가 있는데 [톰캣 위치]/logs 위치에 tail -f catalina.out 명령어를 쳐주면 실시간 로그들을 볼 수 있다 입사 처음하면서 겪어봤던건데 지금도 계속 사용하고 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sitlA/btrnbU5ezSd/mv6MRtYbsOLSvtXsdWoqK1/img.png)
1. oracle 11g 먼저 설치 (화면에 보이는 다운로드 2개 받아준다) 2. setup.exe 눌러서 실행 3. 보안 갱신 수신 체크 X 4,. 데이터베이스 생성 및 구성 5. 데스크톱 클래스 6. orcl / 2020goodIT 입력 (필자는 itgood으로 작성) 7. 완료 8. "누락된 또는 부적합한 옵션", "the account is locked" 에러가 뜨는데 무시하자 9. 그리고 아까 설정했던 계정으로 로그인을 하면 이런 에러가 뜨던데.. ORACLE 11G ORA-01017: invalid username/password; logon denied sqlplus 실행해서 사용자명 sys as sysdba 입력하고 비밀번호 없이 엔터치면 접속되더라. (아무래도 관리자 계정인듯 하다) 알고..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AcICp/btrm7NyVN48/D8RGOCBPJygHV03o5nILj1/img.png)
[톰캣 설치 경로]/bin 으로 경로 이동후 ./version.sh 명령어를 입력하면 된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OWgLG/btrm2oZwzyS/m6ek8V07IR3LryeUXzAPq1/img.png)
실무할 때 설문조사 문항번호를 갖고오고 싶었는데 DB에 저장돼있지 않아서 문서에서 직접 글자를 갖고왔던 기억이 있었다.. 개념정리 겸 글 끄적여본다. 문자열 "뽕슈입니다!" 하나 선언해놓고 첫번째 글자를 갖고오고 싶을 때는 charAt(0) 을 써주면된다 1번째 글자는 charAt에서 0번째부터 시작한다 자연스럽게 3번째 글자는 2번째, 마지막 글자는 문자열의 길이에서 1을 빼면 되고.. 간단한 개념이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vvfz1/btrm1iLCBAJ/yeUIdggqM4YrzfHVRB8zl0/img.png)
HTML에서 id나 class 등 다양한 속성을 지정했을때 JQuery로 속성값을 가져올 수 있다. Java에서 갖고온 값을 id나 class에 모두 지정했었는데 "내가 아는 속성값들은 이미 사용하고 있는데.. 내가 속성을 직접 만들어서 값을 집어넣을수도 있나?" 착안해서 테스트 해본거다. index.html 선택 1 option tag에 data-test라는 속성을 만들어서 값을 집어넣어봤다. 설마 되겠어~ 했는데 돼버렸다.. select box를 선택하고 1을 선택했을때 data-test 속성값을 읽어서 "1번"이라는 값이 나왔다 쓸 일은 있었지만 그렇게 흔하게 쓰진않겠지 그래도 기억에 남아 적어둔다
// select box ID로 접근하여 선택된 값 읽기 $("#id option:selected").val(); // select box Name로 접근하여 선택된 값 읽기 $("select[name=select box name]").val(); // 같은 방식으로 span과 같은 다른 태그도 접근 가능. $("span[name=select box name]").text(); // 선택된 값의 index를 불러오기 var index = $("#id option").index($("#id option:selected")); // 셀렉트 박스에 option값 추가하기 $("#id").append("1번"); // 셀렉트 박스 option의 맨앞에 추가 할 경우 $("#id").prepend("0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