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165)
IT 일기장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Nsxqd/btrnqlHwnSE/SEp3AThVFmAkc29Q8XiY81/img.png)
실속 없긴한데 이거 모르면 아재라고.. (솔직히 난 몰랐다) 윈도우 키 + 마침표 키 누르면 이모티콘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이 뜬다 ㅋㅋ 기호도 쓸 수 있나보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gTHjs/btrnoCQ0twi/FSIK5EqjRMypdzTN4rTgO1/img.png)
브라우저나 개발 툴이나 게임 등등 여러 개 많이 켜놨을때 이것저것 하나씩 클릭 하면서 보기가 힘들때 썼던 윈도우 단축키다 아래 사진처럼 하나씩 클릭하면서 보기 귀찮은데.. 아래 사진 처럼 윈도우 키 + 방향 키 누르면서 원하는 배치에 딱 맞게 이용할 수 있어서 꽤 자주 사용한다
백준 사이트에서 문제풀던 중, Scanner로 입출력하는 방식이 아닌 BufferedReader, BufferedWriter로 입출력하는 방식을 발견했다. 이를 이용하면 입출력 속도가 Scanner는 1.6초정도 나오는데 Buffered를 이용하면 1초정도 나온다.. 신기해서 정리해봤다. 다만 사용시 유의할점이 있다. try ~ catch로 예외처리 필수다. 밑에 예제처럼 처리할 경우 공백("") 구분자인 StringTokenizer가 필요하다. buffered 함수 처리를 완료했으면 close()나 flush() 함수를 반드시 써야된다. (수정) 밑에 System.out.println으로 출력을 해보니 시간 초과로 통과하지 못했다. 이걸 bw.write()로 바꿔서 출력해줬더니 통과했다. 확실히 속도차..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DwWzw/btrnkwJ2pjb/g87Ilp8Kb2p69HsgnQvwV0/img.png)
여러가지 방법이 있었는데 보편적으로 사용한 방법은 이거다 우선 아래 사진처럼 배포하고자 하는 프로젝트 오른쪽 클릭하면 Export... 부분이 있다 이거 클릭 누르면 아래 사진처럼 화면이 나오는데 WAR 검색하면 WAR file 생긴다 이거 클릭하고 Next 버튼 클릭 다음 화면은 아래 사진처럼 Web project 명과 Destination 그리고 체크 박스들이 뜨는데 Web project는 그대로 내비두고 Destination 오른쪽 Browse... 클릭하고 바탕화면으로 설정했다. 여기서 Destination은 WAR 파일을 어디다 생성할건지 경로를 지정하는 내용이다. 체크박스는 모두 미해제. 그 다음 Finish 버튼 눌러준다 그러면 바탕화면에 WAR 파일이 하나 만들어진다. 압축 풀고 압축 푼 ..
공지사항이 글을 올린지 10일 이후에 미공지로 변경되는 로직을 짤 때 착안한 함수다 쿼리를 보듯이 현재 날짜와 DB에 저장돼있는 날짜를 비교해서 두 시간의 차이가 10일 보다 큰 식을 표현했다 쓰는 곳이 있었어서 정리해둔다 select * from kofac_mig.t_board where delyn = 'N' and bc_notice != and TIMESTAMPDIFF(day, regdt, now()) >= 10;
한글 깨질때 간단하게 복붙해서 테스트해봤던 소스다. 꽤 유용 String originalStr = "Å×½ºÆ®"; // 테스트 String [] charSet = {"utf-8","euc-kr","ksc5601","iso-8859-1","x-windows-949"}; for (int i=0; i utf-8] = Å×½ºÆ® [utf-8 => euc-kr] = ��쩍쨘�짰 [utf-8 => ksc5601] = ��쩍쨘�짰 [utf-8 => iso-8859-1] = à ýºÃ® [utf-8 => x-windows-949] = 횇횞쩍쨘횈짰 [euc-kr => utf-8] = ?���������� [euc-kr => euc-kr] = ?×½ºÆ® [euc-kr => ksc5601] = ?×½ºÆ®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5IW7D/btrnjHKUJ99/FaYZK0JJlKK4fnokQqZ7xk/img.png)
회사 들어온지 얼마 안됐을때 겪었던 내용이었는데 정리해놔야지.. 로그 쌓이는 부분을 테스트하고 있었을때 의아한 부분이 있었다. 바로 솔루션에서 조회자 IP가 이상하게 나오는 점.. 0:0:0:0:0:0:0:1로 나와서 이게 뭔가 싶었다. 개발팀에게 물어보니 이 IP는 현재 IPv6 형태로 출력되는것이었다. 설정을 안했으니 당연히 안나오는게 맞는거였고 내 ip로 직접 테스트를 해보고 싶다면 방법이 있다. C:\Windows\System32\drivers\etc 경로로 들어가서 hosts 파일을 확인해본다. 아래 사진과같이 127.0.0.1 localhost라고 표시된 부분이 있다. 바로 이부분이 이클립스를 실행할때 사용하던 localhost가 연결돼있는것이다. 이 부분을 #(주석) 처리하고 내 IP (10..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WS0E8/btrnjEOacHz/PSyor4wBc0z8KHGqqkMvi1/img.png)
학생부 프로젝트 진행중에 초안 답변 내용이 윗 폼에서 중복적으로 나오는 문제점이 발생했었다. 이유는 cheditor plugin에서 빨간색 글씨나 진하게 글씨를 칠했을때 문제가 원인이었는데 hidden 태그에 초안 답변 내용을 값이 있을때 서식을 먹인 부분이 "style"이 적용되어 큰따옴표가 강제로 닫혀져 글씨가 나오는 문제점이었다.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나 &같은 특수문자들을 html 코드로 변경해줘야 되는데 이 역할을 해주는게 태그였다. # c:out 태그를 적용하지 않았을때 상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