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4/06 (5)
IT 일기장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qj2QF/btsIbvElGHi/lzJkQUlacYxWjqDWByNey1/img.png)
간단한건데 찾아보니 적어놓지 않았었다.. 그래도 적어놓는 습관은 좋으니 남겨둔다.SimpleDateFormat을 이용한 방식이며 한국 시간 기준으로 정확하게 출력된다. 날짜 뽑아내는 패턴도 알아두자. yy : 년도 (뒷 2자리)ex) 2024년 => 24yyyy : 년도 (4자리)ex) 2024년 => 2024M : 월 (1자리 숫자인 경우 그대로)ex) 6월 => 6 MM : 월 (1자리 숫자인 경우 앞에 0이 붙음)ex) 6월 => 06d : 일 (1자리 숫자인 경우 그대로) ex) 1일 => 1 , 26일 => 26dd : 일 (1자리 숫자인 경우 앞에 0이 붙음) ex) 1일 => 01 , 26일 => 26h : 시 (1자리 숫자인 경우 그대로, 오전/오후 구분이 없음) ex) 1시 => 1 ,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gNhy/btsIcRsfnxk/FhelWtkBLjuHgXD31jPVm1/img.png)
Excel POI로 엑셀 다운로드 개발하고 있을때 발생한 개념이였다.여러 방법을 생각하기 위해 시행착오를 몇 번 겪었었는데 그 중에서 DB에서 Column들에 대한 Key값들을 순서대로 가져오고 싶었을때 이 개념을 찾아냈다. LinkedHashMap 사용법은 간단하다. HashMap과 동일한 개념이다. HashMap 예제부터 살펴보면 HashMap map = new HashMap();map.put("test1", 1);map.put("test2", 2);map.put("test3", 3);map.put("test4", 4);map.put("test5", 5);for (Map.Entry result : map.entrySet()) { System.out.println(result.getKey() +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4BVv/btsH3m1zn7c/ymKZVG5A87YXZ4PH39gNVk/img.png)
블로그 포스팅이나 구글링을 하면서 수많은 의문점 중 하나가 떠올랐다. 내가 이 소스코드를 적용해서 어떤 화면이 나왔었고 어떤 결과가 나왔었더라?직관적으로 떠오르고 바로바로 기억나게 해주는 것은 글보다 화면이 더 효과적이라 생각한다.그렇다고 동영상 촬영은 글쎄 좀 과하다는 느낌을 받는다. 그렇다면 뭐가 있을까?내가 핸드폰으로 주로 보던 유머짤 중 GIF가 있었네? 이거다. 바로 검색해보니 ScreenToGif 프로그램이 있던 것이다. ScreenToGif - Record your screen, edit and save as a gif or videoFree screen recorder tool. Record, edit and save as a gif or video.www.screentogif.com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nqdiE/btsH2EBChDm/WvkqDD6cEfPUlZZj9kdOFK/img.png)
프로젝트 하면서 어디 좋고 쓸만한 무료 Grid가 없나.. 찾아보던 중에 Toast Grid를 발견하게됐다.여기서 들었던 의문점 중 하나가 "Toast Grid는 많은 데이터들을 커버할 수 있을까?" 였는데계획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계획1. 테스트 테이블 toast_test 하나 만들어놓고 데이터를 10만개 정도 넣어본다.2. 화면볼때 이상이 없는지 확인한다.3. 이상이 없다면 10만개씩 더 넣어본다.4. 이를 반복 방법1. Java에서 function 하나 만들어서 DB에 데이터를 집어넣는다.2. 프로시저를 사용해서 DB에 데이터를 집어넣는다.3. INSERT 구문을 이용해서 하나씩 DB에 데이터를 집어넣는다. 참고로 현재 DB 개발환경은 MariaDB 11이다.이정도까지만 생각하고 방법 3가..
정말 오랜만에 블로그 포스팅을 한다. 10개월만에 다시 부활.. 회사 프로젝트로 인해 바쁘기도 하고~ 야근도 많이 하고~ 여행도 많이 다니고~ 하다보니머릿속에 컨텐츠들이 쌓이고 쌓여 다시 초심으로 돌아가 포스팅 시작! Spring Boot 기반 Rest API 개발 시작을 위해 유틸을 만드는 중 생각나서 정리한다.포스팅 해놓은줄 알았는데 안적어놨더라.. List>의 성격상 Array 형태로 Response 된다. 따라서 JSONArray로 선언하여 추가 해줘야한다.물론 그 전에 Map 데이터들을 JSONObject에 담는게 먼저다. // List> => json array로 변환@SuppressWarnings("unchecked")public static JSONArray convertListToJ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