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일기장
[Server] Fiddler를 활용한 운영서버에 있는 소스 분석 본문
중소기업 SI 회사에 다니면서 발생한 일이었다.
회사 내 인트라넷에 접속해서 회원정보 목록을 보고 싶어서 메뉴를 클릭했더니
자꾸 메인페이지로 튕겨나가는 것이었다..
개발자 도구로도 좀 보고 싶은데 자꾸 튕기니 찾기도 힘들고
메인페이지로 튕겨나가는 이유를 알고 싶어서 대리에게 인트라넷 소스를 확인할 수 있을까 물어봤는데
GitLab 내에 인트라넷 소스가 총 5개가 있는데 어떤 게 최신 버전인지는 모른다는 것이다. (무슨 야바위 하는 것도 아니고..)
전 퇴사자에게 인수인계를 받은 게 없었어서 발생한 일 ㅠㅠ
항상 느끼는 거지만 회사에서 일이 돌아가야 할 요소 중 인수인계는 정말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면 다른 방법으로 운영서버에 FTP로 직접 접근해서 직접 소스를 내려받고
문제가 되는 페이지를 찾아서 소스 분석 후 수정하고 다시 배포한다.
그리고 그 소스도 형상관리 할 수 있도록 Git에 올린다.
가장 올바른 방법이지만 소스를 내려받고 문제가 되는 페이지를 찾아서 소스 분석을 하고 수정하고 다시 배포를 한다?
당장에 할 것도 많은데 이 파이프라인은 나에게 시간을 잡아먹는 방법이었기 때문에 어떻게든 시간을 줄이고 싶었다.
그래서 생각난 게 Fiddler였다. Fiddler를 써본 적이 없었지만 역할은 알고 있었기에.. 문제점을 빠르게 찾을 수 있다고 생각했다.
어차피 현재 문제의 포커싱은 Javascript에 초점을 두고 움직이는 게 맞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Fiddler 프로그램을 실행해서 문제의 URL을 먼저 찾는 게 첫 번째였다.
Result Highlight는 내가 검색한 URL 영역을 색상으로 표시하는 역할이었다. 빨리 찾을 수 있지요
하단에 Header 탭을 눌러보면 Cache, Entity, Miscellaneous, Transport 정보도 볼 수 있었다.
내가 원하는 거 이것저것 눌러보니 TextView 탭과 SyntaxView 탭을 눌러보니 문제점을 찾았다.
내가 로그인한 아이디가 특정 아이디에 속해있지 않으면 메인페이지로 튕겨나가게 Javascript로 구현돼 있던 것이다.
어쨌든 원인은 알았으니 잘 알아서 해결했다~
'프로그래밍 언어 >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OpenJDK 64-Bit Server VM warning INFO oscommit_memory(0x000000075c300000, 378011648, 0) failed error=메모리를 할당할 수 없습니다 (errno=12) (0) | 2023.08.08 |
---|---|
[Server] sftpuser.sh 계정 삭제 (0) | 2022.10.04 |
[Windows 10] Apache 자동 실행 중지 (0) | 2022.09.19 |
[CMD] 8080 포트가 살아있을때 중지 시키는법 (0) | 2022.05.17 |
[SunOS] passwd 기록 목록에 암호가 있습니다 (0) | 2022.01.07 |